4월 월급이 줄어든 이유? 건강보험료 정산에 대해 알아보자

건강보험료, 왜 이렇게 많이 떼어갈까?

4월 월급을 확인하고 실망한 분들 많으실 겁니다. 평소와 다르게 적게 들어왔기 때문인데요. 이처럼 갑작스럽게 월급이 줄어드는 가장 흔한 이유는 바로 건강보험료 정산 때문입니다.

월급이 줄어든 이유? 건강보험료 정산

건강보험료는 우리가 병원에 갔을 때 진료비 부담을 줄여주는 중요한 사회보장제도입니다. 하지만 매년 4월이 되면 예상치 못한 금액이 추가로 공제되면서 궁금증과 혼란을 유발하곤 하죠. 이번 글에서는 4월 건강보험료 정산이 왜 발생하는지, 어떤 기준으로 계산되는지,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등을 쉽고 자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


건강보험료란 무엇인가?

사회보장의 핵심 제도, 건강보험

국민건강보험은 국민 모두가 갑작스러운 질병이나 사고에 대비해 일정한 보험료를 부담하고, 필요할 때 의료비를 지원받는 제도입니다.
진료비 영수증을 보면 내가 실제로 낸 돈보다 훨씬 큰 금액이 적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차액은 건강보험공단이 대신 지불한 것이며, 우리가 평소 납부하는 건강보험료로 충당됩니다.

매달 납부되는 건강보험료

직장인은 매달 월급에서 건강보험료가 자동으로 공제됩니다. 이때는 전년도 소득 기준으로 산정된 금액이 적용됩니다. 하지만 이 금액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매년 다시 계산하여 조정됩니다.


왜 4월에 건강보험료가 더 나갈까?

연간 소득 변동 반영을 위한 정산

직장인의 건강보험료는 고정된 것이 아닙니다. 해마다 소득에 따라 건강보험료 정산이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뤄집니다.

  1. 직전 연도 소득 기준으로 보험료 계산
    예를 들어 2024년 건강보험료는 2023년 소득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2. 3월에 건강보험공단에 신고
    회사가 2024년 초에 전년도의 소득 변동 내용을 건강보험공단에 신고합니다.
  3. 4월에 정산 반영
    공단은 신고된 내용을 바탕으로 다시 건강보험료를 계산해 4월 월급에서 추가 금액을 반영합니다.

즉, 건보료가 인상된 것이 아니라, 그동안 더 벌었지만 더 내지 않았던 부분을 한꺼번에 정산하는 과정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소득이 늘었기 때문에 더 내는 것

더 많이 낸 건 나만이 아니다

4월 건강보험료를 더 내게 된 건 나 혼자만이 아닙니다.
2024년 기준으로 보면, 다음과 같은 통계가 있습니다.

  • 998만 명의 직장인이 건강보험료를 평균 20만 원 더 냈습니다.
  • 반대로 357만 명은 평균 13만 원을 환급받았습니다.

이는 전체적으로 소득이 증가한 사람이 줄어든 사람보다 더 많다는 현실을 보여줍니다.


건강보험료 정산, 얼마나 더 내게 될까?

추가 납부 금액의 예시

추가로 납부하는 건강보험료는 개인의 소득 변동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 성과급, 상여금 등 일시적 소득이 증가한 경우
  • 승진, 연봉 인상 등으로 정기 급여가 상승한 경우

예를 들어 연봉이 전년 대비 300만 원 증가했다면, 약 20만 원 내외의 건강보험료를 추가로 납부해야 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료 분할 납부도 가능할까?

부담을 줄이는 분할납부 제도

추가로 납부할 금액이 클 경우에는 분할 납부 신청이 가능합니다. 최대 12개월까지 나눠서 납부할 수 있어 월급에서 빠져나가는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분할 납부 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고객센터(1577-1000)를 통해 신청
  • 정해진 기간 내 신청해야 분할 납부가 가능

환급을 받을 수도 있다?

소득이 줄어든 경우엔 환급 대상

반대로, 소득이 전년보다 줄어든 직장인은 이미 많이 납부한 건강보험료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환급 대상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입니다.

  • 이직이나 휴직으로 인해 소득이 감소한 경우
  • 상여금 등 일시 소득이 줄어든 경우
  • 근로시간 단축 등 근로 조건이 변경된 경우

이러한 경우에는 4월 월급에 건강보험료가 환급되며, 환급금은 급여 명세서에 표기됩니다.


이번 달 월급이 줄었지만 긍정적으로 바라보자

월급에서 건강보험료가 더 많이 빠져나간다는 건 나에게 나쁜 일이 아닙니다.
그만큼 내 소득이 전년 대비 늘어났다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물론 한 번에 나가는 금액이 커지면 부담스러울 수 있지만, 그만큼 내가 일한 만큼 보상받고 있다는 뜻으로 받아들여보는 것도 좋습니다. 또, 미리 알고 준비하면 그 부담도 훨씬 줄어들 수 있습니다.


마무리

4월 건강보험료 정산은 많은 직장인이 매년 겪는 일입니다.
그 이유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알고 보면 소득의 증가를 반영한 합리적인 제도입니다.

국민건강보험료 정산금이 예상보다 많이 나왔다면, 분할 납부 등의 제도를 활용해 부담을 줄여보세요. 그리고 환급 대상에 해당된다면 반드시 돌려받을 수 있도록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건강보험료 미납 시 발생하는 영향과 대처 방법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